2 분 소요


단계 제목 설명  
  소단계 문제번호 제목
    2606 단지번호붙이기

문제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모양의 지도가 있다. 1은 집이 있는 곳을, 0은 집이 없는 곳을 나타낸다. 철수는 이 지도를 가지고 연결된 집의 모임인 단지를 정의하고, 단지에 번호를 붙이려 한다. 여기서 연결되었다는 것은 어떤 집이 좌우, 혹은 아래위로 다른 집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대각선상에 집이 있는 경우는 연결된 것이 아니다. <그림 2>는 <그림 1>을 단지별로 번호를 붙인 것이다. 지도를 입력하여 단지수를 출력하고, 각 단지에 속하는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는 지도의 크기 N(정사각형이므로 가로와 세로의 크기는 같으며 5≤N≤25)이 입력되고, 그 다음 N줄에는 각각 N개의 자료(0혹은 1)가 입력된다.

출력

첫 번째 줄에는 총 단지수를 출력하시오. 그리고 각 단지내 집의 수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하시오.

내 제출

dfs 사용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graph = []
result = []
count = 0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strip())))


dr = [-1, 1, 0,0]
dc = [0, 0, -1, 1]

def dfs(r,c):
    global count

    if r<0 or c<0 or r>=N or c>=N:
        return


    if graph[r][c] == 1:
        count += 1
        graph[r][c] = 0
        for i in range(4):
            nr = r + dr[i]
            nc = c + dc[i]
            dfs(nr,nc)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raph[i][j] == 1:
            dfs(i,j)
            result.append(count)
            count = 0

result.sort()
print(len(result))
for k in result:
    print(k)
bfs 사용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input())

graph = []  # 입력받을 그래프를 담을 리스트 선언
result = []  # 결과를 담을 리스트 선언

for _ in range(N):
    graph.append(list(map(int, input().rstrip())))

# 한 점을 기준으로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으로 한칸 씩 이동할 좌표 설정
dr = [0, 0, 1, -1]
dc = [1, -1, 0, 0]


def bfs(graph, a, b):
    queue = deque()  # 큐 선언
    queue.append([a, b])  # a ,b 를 큐에서 그대로 빼기 위해 append로 추가를 해준다.
    graph[a][b] = 0  # 첫번째 집 a,b를 방문 처리해준다.
    count = 1  # 첫번째 집 a,b 를 방문했기 때문에 count값을 1로 시작한다.

    while queue:
        r, c = queue.popleft()  # 큐에 들어간 좌표 r,c를 파이썬 문법을 활용하여 그대로 빼준다.
        graph[r][c] = 0
        for i in range(4):  # 각 좌표마다 위 아래 왼쪽 오른쪽으로 이동
            nr = r + dr[i]
            nc = c + dc[i]

            # 좌표를 이동했는데 그래프 범위를 벗어 나는 경우
            if nr < 0 or nr >= len(graph) or nc < 0 or nc >= len(graph):
                continue

            if graph[nr][nc] == 1:  # 만약 1이라면(집을 방문을 안했다면)
                graph[nr][nc] = 0  # 방문했던 곳은 0으로 만들어 버린다.
                queue.append([nr, nc])  # 새로운 r ,c 좌표를 큐에 추가
                count += 1  # count값 1 증가

    return count


# 그래프의 원소가 1일때 bfs로 집을 방문한다.
for i in range(N):
    for j in range(N):
        if graph[i][j] == 1:
            count = bfs(graph, i, j)
            result.append(count)

result.sort()  # 오름차순으로 정렬

print(len(result))  # 총 단지수 출력
for k in result:  # 각 단지마다 집의 수 출력
    print(k)

결과

정답

수정 제출


결과

코드 해석

dfs 사용

기본적으로 dfs 의 코드를 사용하며 이때 재귀함수를 사용한다.

또한 dfs(r,c) 로 지정해준 함수를 사용하는 조건을 이중 for 문을 만들어주어 해당 블록의 수가 1인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하며,

1인경우에만 작동하게 하기 위해 확인한 블럭의 숫자를 0으로 바꾸어주고 바꿀때마다 count 를 해주어 총 count 수를 각 영역만큼의 리스트 배열로 저장해 주는 방식으로 해결한다.

자세한 코드해설은 다음과 같다.

bfs 사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