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원 배열-5단계_ 공넣기
단계 | 제목 | 설명 | |
---|---|---|---|
4 | 1차원 배열 | 배열을 사용해 봅시다. | |
소단계 | 문제번호 | 제목 | |
5 | 10810 | 공 넣기 | |
배열에 값을 쓰는 문제 |
문제
도현이는 바구니를 총 N개 가지고 있고, 각각의 바구니에는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 1번부터 N번까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매우 많이 가지고 있다. 가장 처음 바구니에는 공이 들어있지 않으며, 바구니에는 공을 1개만 넣을 수 있다.
도현이는 앞으로 M번 공을 넣으려고 한다. 도현이는 한 번 공을 넣을 때, 공을 넣을 바구니 범위를 정하고, 정한 바구니에 모두 같은 번호가 적혀있는 공을 넣는다. 만약, 바구니에 공이 이미 있는 경우에는 들어있는 공을 빼고, 새로 공을 넣는다. 공을 넣을 바구니는 연속되어 있어야 한다.
공을 어떻게 넣을지가 주어졌을 때, M번 공을 넣은 이후에 각 바구니에 어떤 공이 들어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1 ≤ N ≤ 100)과 M (1 ≤ M ≤ 1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서 공을 넣는 방법이 주어진다. 각 방법은 세 정수 i j k로 이루어져 있으며, i번 바구니부터 j번 바구니까지에 k번 번호가 적혀져 있는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 5 6은 2번 바구니부터 5번 바구니까지에 6번 공을 넣는다는 뜻이다. (1 ≤ i ≤ j ≤ N, 1 ≤ k ≤ N)
도현이는 입력으로 주어진 순서대로 공을 넣는다.
출력
1번 바구니부터 N번 바구니에 들어있는 공의 번호를 공백으로 구분해 출력한다. 공이 들어있지 않은 바구니는 0을 출력한다.
내 제출
미제출
결과
미제출
수정 제출
n, m = map(int, input().split())
box = [0]*n
for _ in range(m) :
i,j,k = map(int, input().split())
for idx in range(i, j+1):
box[idx-1] = k
for i in range(n):
print(box[i], end=' ')
결과
정답
오답 이유
이번문제에서는 바구니라는 빈 배열을 설정후, 그 빈 배열에 계속해서 번호가 적힌 공을 업데이트 해준다.
이때 range() 를 활용하면 된다.
처음보면 문제를 이해하기 어려운데 그림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숫자공을 차례차례로 빈 리스트에 삽입해주고, 다음 숫자공 삽입과정을 거친다고 생각하면 쉽다.
사용된 코드 이론
파이썬(Python)에서 range 함수는 정말 자주 사용되는 함수 중 하나입니다. 연속된 숫자(정수)를 만들어주는 range() 함수의 사용법을 정리해봅니다.
파이썬 range() 함수 활용
range(stop)
range(10)은 0, 1, 2, 3, 4, 5, 6, 7, 8, 9 숫자를 생성한다.
마지막 숫자 10(stop)은 포함되지 않는다.
(range 함수의 결과를 바로 확인하기 위해 리스트(list)로 변환)
range(start, stop)
range(1, 11)은 1, 2, 3, 4, 5, 6, 7, 8, 9, 10 숫자를 생성
인자를 2개 전달하는 경우 첫번째 인자는 시작하는 숫자가 된다.
range(start, stop, step)
range(0, 20, 2)
0, 2, 4, 6, 8, 10, 12, 14, 16, 18
마지막 인자 step은 숫자의 간격을 나타낸다.
range(20, 0, -2)
20, 18, 16, 14, 12, 10, 8, 6, 4, 2
step으로 음수를 지정할 수 있다.
range() 함수의 결과는 반복가능(iterable)하기 때문에 for문을 사용해 출력할 수 있다.